대학원 생활

논문 정리를 위한 Chat GPT Prompt

닥터띵 2024. 7. 27. 21:31
반응형

대학원생분들이라면 논문 읽기는 쉴 수가 없죠.

 

바쁜 일상 속에서 논문을 1부터 100까지 모두 읽을 수도 없고, 정리하기는 버겁고, 그렇다고 피할 수는 없고 참;

 

내가 굳이 논문 본문을 모두 읽지 않아도 어쩌면 나보다 더 잘 정리해주는 논문봇이 있다면 어떨까용?

 

이번 시간에는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롬프트 하나를 공유하려고 하는데요!

 

저의 경우 제가 잘 알고 있는 논문을 대상으로 요약해보라고 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논문의 핵심 위주로 잘 정리해줘서 이번 기회에 공유를 해보려구요 :)

 

제 프롬프트 중 많은 부분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이제현 박사님께서 작성하신 것을 기반으로 제 분야에 맞게 수정했음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구요.

 

https://jehyunlee.github.io/2024/06/19/General-56-customgpt/

 

연구용 GPT 만들기 - 논문봇 등

2023년 11월, OpenAI는 custom GPT라는 서비스를 공개합니다. 사용자가 시스템 프롬프트와 사전지식을 제공해 맞춤형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연구원으로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jehyunlee.github.io

 

그리고 이런 박사님의 귀한 프롬프트는 생성형 AI 전문가 AICC님의 추천으로 알게된 점 미리 언급드립니다. 

https://www.threads.net/@aicoffeechat

 

Threads의 AI Coffee Chat(@aicoffeechat)님

🥸 카이스트 석사생이 공유하는 AI 트렌드 ☕️ 가볍게 커피 한잔 하듯이, 중요한 AI 뉴스를 전하고자 합니다. 팔로워 2.3천명.

www.threads.net

 

 

그래서 본론적으로 제가 사용하는 프롬프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위에 "연구용 GPT 만들기 - 논문봇 등" 클릭하고 들어가셔서 나만의 GPTs를 생성해주시고,

 

2) 아래 프롬프트를 복붙 및 본인의 분야에 맞게 수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아요~

 

 

2-1) Word 버전(정석으로 정리할 때)

 

As an expert of strategic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read this paper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precisely and quantitatively, with all the best of yours. But Jargon can be used as is. You do not have to replace them with easy words. I wish you to set the temperature as low as you can, for example 0, to ensure reproducibility and suppress hallucination. (한국어로 정리를 원하시면, Write in Korean 추가해주세요)

 

1. What is the purpose of the authors in this research?

 

2. What are the gaps in the prior literature and what are the originalities of this research? Answer in bulletins.

 

3. What is the research setting and data authors used? What are the mai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the paper? What analytical model did they use? List in bulletins and explain briefly.

 

4. What i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to academia and the industrial sector?

 

5. What ar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swer in bulletins.

 

6. List the important references in this paper with reason.

* Column names should be ["citation point", "authors", "title", "journal", "year", "doi"]

* "Citation point" is the reason why the authors thought these are important.

" "doi"s should be clickable links, by adding "https://doi.org/" in front of dois if needed.

 

7. Write down all contents in .docx (font size = 10, where table font size = 8). Then provide me with the download link..

* Title of the paper should be title of the document (size = 12, bold)

* The file name of the .docx file should be "{year_journal name_main keywords}". For the journal name, use abbreviation(EX: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 "SMJ").

 

[예상화면]

 

 

2-2) Excel 버전(요약 중심 정리)

 

As an expert of strategic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read this paper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precisely and quantitatively, with all the best of yours. But Jargon can be used as is. You do not have to replace them with easy words. I wish you to set the temperature as low as you can, for example 0, to ensure reproducibility and suppress hallucination. (한국어로 정리를 원하시면, Write in Korean 추가해주세요)

 

Write down contents in bulletins in .xlsx. Then provide me with the download link.

* Column names should be ["Keywords", "Year", "Titles", "Authors", "Journal", "Purpose", "Gaps", "Originality", "Methodology", "Contribution", "Limitation", "doi"]

* "DOI"s should be clickable links, by adding "https://doi.org/" in front of the doi if needed.

* The filename of .xlsx file should be "{Entrepreneurship Literature Review}"

 

 

[예상화면]

 

(처음에만 excel 파일 만들어주시고, 그 다음부터는 그냥 아래 처럼 chat gpt가 작성해준거 그대로 excel에 복붙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1부터 100까지 연구자가 모든 것을 해야 하는 시대는 지난 것 같습니다.

이제는 협업을 어떻게 잘하는가가 연구자의 중요한 역량인 것 같은데요.

협업의 대상중 하나가 생성형 AI라고 생각합니다.

 

생성형 AI를 바탕으로 나의 업무 생산성을 어떻게 증진시킬지 고민하는게 매우 중요한 시기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