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AMJ)에서 새롭게 발표한 'Management Research Canvas'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도구는 경영학 연구자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프레임워크입니다.
Management Research Canvas란?
AMJ는 경영학 분야의 최상위 저널 중 하나로, 다양한 주제와 방법론을 다루는 '큰 텐트' 저널입니다. 이번에 제시한 캔버스는 성공적인 연구가 갖춰야 할 9가지 핵심 요소를 퍼즐 형태로 구조화했습니다.
9가지 핵심 요소
1. The Puzzle (연구의 핵심 질문)
- 광범위한 이론적/현상적 퍼즐 제시
- 경영학 이론의 어떤 영역에 기여할 것인지 명시
-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출발점
2. 연구의 프레이밍
- Audience & Prior Research: 목표 독자층과 선행연구
- Research Question: 구체적인 연구 질문
- 큰 퍼즐에서 구체적인 질문으로 좁혀가는 과정
3. 이론적 프레임워크
- 주요 구성 개념(Constructs) 정의
- 개념 간 관계 설정
- 관계의 이론적 메커니즘 설명
4. 실증 방법론
- Research Setting: 연구 환경의 적절성
- Research Design & Analysis: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
-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 방안
5. 결론 도출
- Empirical Findings: 실증적 발견
- Contributions: 학문적/실무적 기여
- Boundary Conditions & Limitations: 한계와 제약조건
캔버스 활용 시점
1. 연구 프로젝트 구상 단계
2. 원고 초안 작성 단계
3. 투고 준비 단계
4. 리뷰어 피드백 대응 단계
주요 특징과 장점
1. 유연성
- 정해진 순서 없이 요소들을 자유롭게 구성
- 연구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
2. 체계성
- 연구의 모든 핵심 요소를 포괄
- 요소 간 관계를 명확히 파악
3. 실용성
- 연구 설계부터 논문 작성까지 활용
- 특히 신진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라인 제공
마치며
Management Research Canvas는 단순한 템플릿이 아닌,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특히 박사과정 학생이나 신진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문헌:
Dorobantu, S., Gruber, M., Ravasi, D., & Wellman, N. (2024). The AMJ Management Research Canvas: A Tool for Conducting and Reporting Empirical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67(5), 1163-1174.
'대학원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epRead: AI 기반 한국인 맞춤형 논문 분석 도우미 (1) | 2024.11.03 |
---|---|
연구자를 위한 최고의 AI 글쓰기 도구: Paperpal과 JennyAI 상세 리뷰 (2) | 2024.11.03 |
논문 피드백 단 5분만에 받는 방법! ChatGPT-Canvas 완벽 활용법 (2) | 2024.10.31 |
영어 논문 읽기가 어려우신가요? DeepL 데스크톱 앱으로 3초 만에 해결! (0) | 2024.10.31 |
논문 발표자료 3분 완성! 최신 AI툴 활용법 (2) | 2024.10.30 |